2013년 5월 14일 화요일

VI명령어, Vi명령어,리눅스명령어,클라우드호스팅,서버호스팅,서버호스팅,코로케이션,하이퍼바이저,IDC서버호스팅,해외서버호스팅,VPN,,가상서버,VPS,PC방장비,게임서버,DDos,디도스공격,디도스공격방어

VI명령어, Vi명령어,리눅스명령어,클라우드호스팅,서버호스팅,서버호스팅,코로케이션,하이퍼바이저,IDC서버호스팅,해외서버호스팅,VPN,,가상서버,VPS,PC방장비,게임서버,DDos,디도스공격,디도스공격방어



▶ VI 명령어 모드 3가지 ◀

 1) ESC 모드
2) 편집모드
3) 콜론모드(ex모드)


1. 시작
vi file :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
vi -R file : 읽기 전용(read- only) 편집기로서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
view file : 읽기 전용(read- only) 편집기로서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편집

2. 종료 및 저장
:wq :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
:q! :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종료

:w : 원래의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
:w file : 지정한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
:w>> file : 지정한 파일에 데이터를 추가

3. 커서 움직이기

3.1 커서 이동 h<Left> : 커서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
j<Down> : 커서를 한 줄 아래로 이동
k<Up> : 커서를 한 줄 위로 이동
l<Right> : 커서를 한 칸 오른쪽으로 이동
<Backspace> : 커서를 한 칸 왼쪽으로 이동
<Space> : 커서를 한 칸 오른쪽으로 이동

- : 커서를 이전 줄의 처음으로 이동
+ : 커서를 다음 줄의 처음으로 이동
<Return> : 커서를 다음 줄의 처음으로 이동
0 : 커서를 현재 줄의 맨 앞으로 이동
$ : 커서를 현재 줄의 맨 끝으로 이동
^ : 커서를 현재 줄의 첫글자(공백이나 탭이 아닌)로 이동

w : 커서를 다음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
e : 커서를 다음 단어의 끝 글자로 이동
b : 커서를 이전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

W : w와 같음(문장 부호 무시)
E : e와 같음(문장 부호 무시)
B : b와 같음(문장 부호 무시)

( : 다음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
) : 이전 문장의 처음으로 이동
{ : 다음 문단의 처음으로 이동
} : 이전 문단의 처음으로 이동

H : 커서를 화면 맨 위로 이동
M : 커서를 중간으로 이동
L : 커서를 맨 아래로 이동

3.2 화면단위 이동 Ctrl + F(orward) : 한화면 밑으로 이동.
Ctrl + B(ackward) : 한화면 위로 이동.
Ctrl + D(own) : 반쪽화면 밑으로 이동.
Ctrl + U(pon) : 반쪽화면 위로 이동.

Ctrl + E : 커서는 현재위치 그대로 화면만 한줄씩 위로 이동
Ctrl + Y : 커서는 현재위치 그대로 화면만 한줄씩 아래로 이동

z : 커서의 위치와 함께, 화면상의 맨위로
nz : n번 라인을 화면상의 맨위로

z. : 커서의 위치와 함께, 화면상의 중간으로
z- : 커서의 위치와 함께, 화면상의 맨아래로

## Control G : 현재 편집문서의 정보 보여주기
## Control L : 화면 재표시 (글자가 깨졌을 경우)
## Control R(edraw) : 화면 재표시 (글자가 깨졌을 경우)

4. ★ VI 명령어의 간단한 문법 (주의점) ★
' (반복횟수)(편집명령)(반복횟수)(커서이동명령) '
현재의 위치에서 커서 이동명령의 내용대로 문서의 임의 위치로 이동하는 순간, 편집명령어의 내용이 수행된다.
5. 편집하기

5.1 편집하기
d : (Delete) 지우기
dd : 한줄지우기
2dd : 두줄지우기
ndd : n줄지우기 (n 은 임의의숫자)
dw : 한단어 지우기
d2w : 두단어 지우기
d$ : 그 줄 끝까지 지우기
d0(d^) : 그줄 처음까지 지우기
dG : 문서 끝까지 지우기
D : 그줄 끝까지 지우기 (d$ 와 동일)

x : 커서가 있는 문자 삭제
X : 커서의 왼쪽 문자 삭제
u : 한번 복구하기
2u : 두번 복구하기

cc : 한줄 바꾸기
2cc : 두줄 바꾸기
ncc : 여러줄 바꾸기 (n 은 임의의숫자)
cw : 한 단어 바꾸기
ce : 한 단어 바꾸기 (공백 제외)
c2w : 두 단어 바꾸기
c$ : 그 줄 끝까지 바꾸기
c0(c^) : 문서 끝까지 바꾸기
C : 그 줄 끝까지 바꾸기 (c$ 와 동일)
r : 한 글자 바꾸기
2r : 두 글자 바꾸기

5.2 복사, 붙이기, 합치기 (Go to top) y : (Yank) 복사하기
yy : 한줄복사
2yy : 두줄복사
nyy : n줄 복사 (n 은 임의의숫자)
yw : 한단어 복사
y2w : 두단어 복사
y$ : 그 줄 끝까지 복사
y0(y^) : 그줄 처음까지 복사
yG : 문서의 끝까지 복사
Y : 한줄복사 (yy 와 동일)

5.3 여러 줄의 복사와 이동 :linecotarget : 지정한 줄을 복사하여 target 줄 밑에 삽입
:line, linecotarget : 지정한 범위를 복사하여 target 줄 밑에 삽입
:linemtarget : 지정한 줄로 이동하여 target 줄 밑에 삽입
:line, linemtarget : 지정한 범위로 이동하여target 줄 밑에 삽입

5.4 마지막 명령어의 반복 . : 마지막에 수행한 명령어를 반복한다.
2. : 명령어를 2번 반복한다.

P : 위로(왼쪽으로) 붙이기
p : 아래로(오른쪽으로) 붙이기
2p : 아래로(오른쪽으로) 두번 붙이기

5.5 편집모드 지정하기 i : insert 현재커서위치
10i* : * 문자를 10개 집어넣기
25i=- : =- 를 25개 반복하기

I : 현재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처음에
a : append 현재커서위치 바로 다음에
A : 현재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끝에
o : open 현재커서위치 바로 아래줄에
O : Open 현재커서위치 바로 윗줄에

5.6 삽입 i : 입력 모드로 전환, 커서 위치 앞에서 삽입
a : 입력 모드로 전환, 커서 위치 뒤에서 삽입

I : 입력 모드로 전환, 현재 줄의 앞에 삽입
A : 입력 모드로 전환, 현재 줄의 끝에 삽입
o : 입력 모드로 전환, 현재 줄의 아래에 전개
O : 입력 모드로 전환, 현재 줄의 위에 전개

5.7 편집하고 있는 파일을 바꾸기 :e file : 지정한 파일의 편집
:e! file : 지정한 파일의 편집, 자동 점검의 생략

6. 찾기( Search ) (Go to top)
/pattern pattern 이라는 단어 찾기 - 위에서 아래로
?pattern scully 이라는 단어 찾기 - 아래에서 위로

/ : 찾기반복 - 위에서 아래로
n : 찾기반복 - 위에서 아래로
? : 찾기반복 - 아래에서 위로
N : 찾기반복 - 아래에서 위로

fx : 현재줄에서 x문자 찾기 - x 는 한개의 글자 -
Fx : 현재줄에서 반대방향으로 x문자 찾기 - x 는 한개의 글자 -
tx : 현재줄에서 x문자를 찾아서 바로전에 커서놓기
Tx : 현재줄에서 반대방향으로 x문자를 찾아서 바로후에 커서놓기
; : 현재줄에서 한글자 찾기반복
' : 현재줄에서 한글자 찾기반복 - 반대방향으로 -

7. ESC 모드에서 사용되는 몇가지 기호 (Go to top)
G : 화일의 맨끝
^ : 현재줄의 맨앞 (빈칸무시)
0 : 현재줄의 맨앞
$ : 현재줄의 맨뒤
% : 짝을 이루는 기호 확인하기
w : 다음 단어
b : 이전 단어
e : 현재 단어의 끝 글자

8. 줄 번호 (Go to top)

nG : 줄번호 n으로 건너뛰기
1G : 편집 버퍼의 첫 줄로 건너뛰기
G : 편집 버퍼의 마지막 줄로 건너뛰기
:map g lG : g가 lG와 같도록 매크로 정의

9. 여러가지 특수한 기호들
. : 한글자를 대표하는 기호 (dos 의 ? 와 동일)
* : 여러개의 문자를 동시에 대표하는 기호
^ : 줄의 처음시작.
$ : 줄의 맨끝.
% : 처음줄부터 끝줄까지
\ : 특수한 기호들이 가지는 뜻을 없앨때 사용.

[] : 일정한 제한을 두어 글자를 대표하고자 하는 기호.
[a-z] : a,b,c,d,e,f,g,h,i,j,k,l,m,n,o,p,q,r,s,t,u,v,w,x,y,z 를 대표
[A-Z] : A,B,C,D,E,F,G,H,I,J,K,L,M,N,O,P,Q,R,S,T,U,V,W,X,Y,Z 를 대표
[AB] : A 또는 B
p[aeiou]t : pat, pet, pit, pot, put 를 대표
[0-9] : 0,1,2,3,4,5,6,7,8,9 를 대표

10. 약어의 사용 (Go to top)

:ab short long : short를 long에 대한 약어로 변경
:ab : 현재 약어 목록을 표시
:una short : 약어 short를 표시

11. 셸 명령 실행
:!command : vi를 중단하고 지정한 셸 명령을 실행
n!!command : n번 줄에서 command의 실행
!move command : 커서부터 move까지 command 실행
!move fmt : 커서부터 move까지 줄들을 형식 맞추기

:!! : vi를 중단하고 이전의 셸 명령을 실행
:sh : vi를 중단하고 셸을 실행
!csh : vi를 중단하고 새로운 C-셸을 실행

12. 디스플레이 제어하기
^L : 현재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하기
:set number : 내부 줄 번호 디스플레이
:set nonumber : 배부 줄 번호 디스플레이 않기

13. 위치 기억하기
mx : mark 현재의 커서위치를 x 라는 문자로 기억
`x : 기억된 x 위치로 이동
`` : 이동하기 전의 위치로 (제자리)
'x : 기억된 x 위치의 맨 앞으로 이동
'' : 이동하기 전 위치의 맨앞으로 이동

14. 버퍼 이용하기
"xyy : x 라는 이름의 버퍼에 한줄 복사 하기
"xp : x 라는 이름의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붙이기
: : 현재 줄번호 보여주기
:/pattern/ : pattern 이 위치한 줄번호 보여주기

15. 패턴 검색
/rexp : 지정된 정규 표현식에 대해 앞으로 이동
/ : 이전의 패턴에 대해 앞으로 검색을 반복
?rexp : 지정된 정규 표현식에 대해 뒤로 이동
? : 이전의 패턴에 대해 뒤로 검색을 반복
n : /나 ?명령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반복
N : /나 ?명령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반복

16. 시스템이 다운된 후에 되살리기
vi -r : 되살릴 수 있는 모든 파일 이름 보여주기
vi -r file : vi를 시작하여 지정한 파일 되살리기

17. EX 명령어 익히기 - 기본형식

17.1 ex 명령어의 기본형식 (Go to top) k,l command m
(범위지정) (명령어) (명령이 수행될 위치)
ex)
:1,10 co 50 : 1 줄 부터 10 줄 까지를 50 줄 이후로 복사.
:34,50 d : 34 줄 부터 50 줄 까지 삭제.
:100,150 m 10 : 100 줄 부터 150 줄까지를 10 줄 이후로 옮김.

:.,$ d : 현재줄부터 끝까지 지우기
:.,+20 co -4 : 현재줄부터 20줄을, 4줄 위에 복사하기
:-,+ t 0 : 위, 아래로 한줄(총 3줄)씩을, 문서 맨위에 복사하기
:/pattern/ d : pattern 이 들어있는 줄 지우기
:/pattern/ -nd : pattern 이 들어있는 줄로부터 n 번째 윗줄 지우기
:/pattern/ +nd : pattern 이 들어있는 줄로부터 n 번째 아랫줄 지우기
:/pattern1/,/pattern2/ d : pattern1 이 들어있는 줄부터, pattern2 가 들어있는 줄까지 지우기
:.,/pattern/ m 23 : 현재줄부터 pattern 이 들어있는 줄까지, 23번줄 이후로 옮기기

17.2 g 옵션 붙이기
:g/pattern : 화일전체에서 마지막으로 pattern 이 쓰여진 줄로 가기
:g/pattern/ p : 화일전체에서 pattern 이 있는줄 보여주기
:g/pattern/ nu : 화일전체에서 patterm 이 있는줄을 번호와 함께 보여주기
:60,124 g/pattern/ p : 60,124 줄 사이에서 pattern 이 들어있는줄 보여주기

17.3 외부파일 읽어 들이기
:r[ead] filename : 현재위치에 filename 읽어들이기
:r /usr/local/data : 현재위치에 /usr/local/data 읽어들이기
:185 r /usr/local/data : 185줄 이후에 /usr/local/data 읽어들이기
:$ r /usr/local/data : 맨끝줄 이후에 /usr/local/data 읽어들이기
:0 r /usr/local/data : 맨윗줄에 /usr/local/data 읽어들이기
:/pattern/ r /usr/local/data : pattern 이 존재하는 줄에 /usr/local/data 읽어들이기

17.4 다중편집하기
vi [file1] [file2] [file3]

:args 편집중인 화일목록 보여주기
:n[ext] 다음 화일로 넘어가기
:prev[ious] 이전화일로 돌아가기
▶ 편집중인 화일이 저장되지 않으면 다음 화일로 넘어갈수 없다 ◀

※ 새로운 화일 편집하기 ※
:e[dit] file_name 새로운 file_name 편집하기.
:e! 현재의 편집중인 내용을 무시하고 가장 최근에 편집한 내용을 다시편집하기
17.5 g 옵션과 바꾸기 (Go to top)
:m,n s/old/new/g
:g/pattern/ s/old/new/g
:1,30 s/his/the/gc 1 줄부터 30 줄까지 his 를 the 로 바꾸면서 확인하기.
:g/BX/ s/Esc/ESC/g BX가 있는줄만 찾아서 Esc 를 ESC 로 바꾸기.
:% s/editer/editor/g 처음줄부터 마지막줄까지, editer 를 editor 로 바꾸기
:g/editer/ s//editor/g 위와 동일("s/" 다음에 인자가 없어서 윗줄과 같은효과)

개식빵,서버호스팅,클라우드호스팅,코로케이션,하이퍼바이저,IDC서버호스팅,해외서버호스팅,VPN,,가상서버,VPS,PC방장비,게임서버,DDos,디도스공격,디도스공격방어


2013년 5월 12일 일요일

서버호스팅,코로케이션,클라우드 호스팅,SSL 인증서 설치가이드 IIS 5.0/6.0

서버호스팅,코로케이션,클라우드 호스팅,SSL 인증서 설치가이드 IIS 5.0/6.0
 


1. 시작 > 실행 > mmc 입력 후 확인 버튼 클릭


2. 파일 > 스냅인 추가/제거 메뉴 선택


3. 추가 버튼 클릭


4. 인증서 항목을 선택 후 추가 버튼 클릭


5. 스냅인 마법사의 인증서 대상에서 컴퓨터 계정을 선택


6. 로컬컴퓨터 선택 후 마침 버튼 클릭


7. 닫기 버튼 클릭



8. 확인 버튼 클릭



9. 인증서 > 신뢰된 루트인증기관 > 인증서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, 모든작업 > 가져오기 메뉴 선택


10. 다음 버튼 클릭


11. 찾아보기 버튼 클릭


12. 발급받으신 인증서 선택 후 열기버튼 클릭


13. 다음 버튼 클릭


14. 인증서 패스워드를 정확히 입력하고, 이 키를 내보낼 수 있도록 표시 항목을 체크

15. 인증서 저장소가 개인으로 되어있는지 확인 후 다음 버튼 클릭




16. 마침 버튼 클릭




17. 인증서 > 개인 > 인증서 폴더에 도메인 인증서가 추가 되었는지 확인




18. IIS 관리자에서 인증서를 설치할 사이트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, 속성 메뉴 클릭




19. IIS 관리자에서 인증서를 설치할 사이트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, 속성 메뉴 클릭




20. 다음 버튼 클릭




21. 기존 인증서를 할당합니다 항목을 선택 후 다음 버튼 클릭




22. 발급받으신 인증서 항목을 선택후 다음 버튼 클릭




23. SSL 포트 설정(기본값 : 443)




24. 인증서 정보 확인




25. 마침 버튼 클릭




26. 인증서 보기 버튼 클릭




27. 설치된 인증서 확인

28. IIS 서비스 재시작

서버호스팅,코로케이션,클라우드 호스팅,SSL 인증서 설치가이드 IIS 5.0/6.0
 

2013년 5월 9일 목요일

서버호스팅,IDC,IDC서버호스팅-개발자를 위한 VIM 활용방법 II - tags 활용 (windows),마이아이피,Myip


서버호스팅,IDC,IDC서버호스팅-개발자를 위한 VIM 활용방법 II - tags 활용 (windows),마이아이피,Myip 





개발자를 위한 VIM 활용방법 II - tags 활용 (Windows)

리눅스에서 vim 에 익숙한 사람은 윈도우에서도,
notepad 나 다른 에디터가 맘에 안들 겁니다.
물론 아래아 한글이나, word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워드프로세서를
얘기하는게 아니라, notepad 같은 간단한 에디터 말입니다.

그럼 vi를 씁시다.

다운로드는 여기로...
ftp://ftp.kr.vim.org/pub/vim/pc
http://vim.sourceforge.net/download.php#pc

여기서

gvim61.exe

를 다운받습니다.

다운 받았으면, 설치를 합니다.

인스톨러라 설치하기 편하죠?
설치하면 native language 도 지원해서,
한글로 메뉴도 나오고... 쓸만 합니다.

설치 다 되었나요?
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이제 ctags 를 설치합시다.

http://ctags.sourceforge.net 에서 Windows 용으로 받습니다.

ec523w32.zip (버전 : 5.2.3)

받은 파일을 풀면 소스와 실행파일이 함께 있습니다.


참고 : ftp://ftp.kr.vim.org/pub/vim/pc 에서 ctags 를 받으면,

버전이 낮아서(2.0.2) ctags 의 -R 옵션이 안 됩니다.

(버전 확인 : ctags --version )


실행 파일 (ctags.exe) 만 복사해서,

gvim 설치한 곳(예, c:\vim\vim61)에 복사를 하세요.
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환경변수 PATH 설정

[내 컴퓨터 - 등록정보(속성) - 고급 - 환경변수 - 시스템 변수 - PATH 선택 - 편집]
에서 맨 끝에 gvim 을 설치한 곳을 지정합니다.

예) ;c:\vim\vim61

;(세미콜론) 은 다들 아시겠지만, windows 나 도스 환경에서
환경변수 항목들을 구분해 주는 겁니다.
(리눅스는 콜론(:)이지만....)


그리고 [확인] 하고 나오면 됩니다.

새로운 MS-DOS 창을 엽니다.

PATH 가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.

c:\> echo %PATH%

쭉 나오면 그 중에 ;c:\vim\vim61; 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
그럼 이제 PATH 설정 끝났습니다.

만일 PATH에 안나온다면... 재부팅하면 당연히 적용됩니다.

하지만, 지금 재부팅하지 않으면서 PATH 에 적용시키고 싶다면...

c:\> set PATH=%PATH%;c:\vim\vim61

도스 창에서 vi 를 실행시켜 봅시다.

c:\> vi

안 됩니까? 그렇다면 설치된 곳으로 갑시다.

c:\> cd \vim\vim61

c:\> copy gvim.exe vi.exe

이젠 되겠지요.
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프로그램 설치는 다 끝났네요...

이제 키 맵을 설정하셔야겠네요.

리눅스에서는 ~/.vimrc 파일이었지만,

윈도우에서는 c:\vim\_vimrc 파일입니다.

. (dot) 이 _ (underscore) 로 바뀌었습니다.

이 파일내용은 "개발자를 위한 VIM 활용방법 - tag 활용"

(http://kltp.kldp.org/stories.php?story=02/04/18/8009516) 을 참고하세요.
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분석할 소스들이 있는 곳으로 갑니다.

소스 트리의 루트로 갑니다.

예) test_source 소스를 c:\test_source 풀어 놨다고 가정합니다.

c:\> cd \test_source

c:\test_source> ctags -R . ( 마지막에 .(dot) 있습니다 )

ctags 를 직접 실행시켜도 되지만, 일단 소스 트리 루트(c:\test_source)에서,

vi 를 실행시켜서 [도구 - 꼬리표 만들기] 를 실행시켜도 됩니다.


(참고)

리눅스에서 만든 .vimrc 파일이 있다면,

파일 이름만 바꿔서 쓰면 됩니다. ( . --> _ )

단 파일 경로 지정해주는 부분은 직접 수정해서 사용합니다.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
이제 vi 를 리눅스에서처럼 맘대로 씁시다...

기타 바탕색 변경이나 그런 건 맘대로 하세요...

저 같은 경우 흰색 바탕은 오래 보면 눈이 많이 아파 검은색 바탕을 주로 씁니다.

그래서 [편집 - 컬러스킴 - torte] 를 씁니다.

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.




Function key 쓰는 방법은 위의 링크(개발자를 위한 VIM 활용방법)를 참고합니다.

서버호스팅,IDC,IDC서버호스팅-개발자를 위한 VIM 활용방법 II - tags 활용 (windows),마이아이피,Myip


서버호스팅,MYIP서버호스팅,KT서버호스팅,IDC서버호스팅,IDC 서버호스팅,MYIP IDC 서버호스팅,마이아이피-Zimbra Desktop 다운로드 및 설치

MYIP서버호스팅,KT서버호스팅,IDC서버호스팅,IDC 서버호스팅,MYIP IDC 서버호스팅,마이아이피-Zimbra Desktop 다운로드 및 설치



1.
인터넷 브라우져를 열고 메일서버 주소 입력 ( 례 : http://mail2.myip.co.kr/)

2.


3.
다운받은파일 더블클릭해서 실행

4.


5.


6.


7.


8.


9.


10.

.

11.


12.


13.


MYIP서버호스팅,KT서버호스팅,IDC서버호스팅,IDC 서버호스팅,MYIP IDC 서버호스팅,마이아이피-Zimbra Desktop 다운로드 및 설치

서버호스팅,하이퍼바이저,클라우드 호스팅,Vmware,디도스공격방어,VPN


코로케이션,하이퍼바이저,서버호스팅,VPN,공인아이피,가상서버,VPS,PC방장비,게임서버,DDos,디도스공격,디도스방어,해외호스팅

코로케이션 서비스 요금 안내 (Co-Location)

(단위: 원 , vat별도, 트래픽 종량제, 무약정 )

상품명서비스월간 트래픽1개월6개월12개월
코로케이션 BIZ1G 포트, 1U~2U1200G60,000342,000662,400
코로케이션 SOHO1G 포트, 1U~2U1800G90,000513,000993,600
코로케이션 SPEED1G 포트, 1U~2U2400G120,000684,0001,324,800
코로케이션 OFFICE1G 포트, 1U~2U3000G150,000855,0001,656,000

개통비용 >
구분초기 개통비
개통비30,000원

선납할인혜택 >
구분6개월 선납12개월 선납
할인혜택5% 할인8% 할인




* 코로케이션은 고객님의 서버를 파킹하는 서비스 입니다.
* 요금제 변경은 월 1회 가능합니다.
* 각 상품의 트래픽은 국내 기준 가격 입니다.
* 국내 초과 트래픽 발생시 1G 당 100 원 요금 발생.
* 국제 트래픽 : 월 18GByte 제공 되며, 초과시 100MByte당 100원 이 과금 됩니다.
* 각 상품에 대한 월간 요금은, 매월 변동이 될 수 있습니다.
* 스팸 전송 또는 해킹 등의,국내법에 저촉되는 목적으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. DDoS 유발 서비스 등은 해지 될 수 있습니다.
* 약정 신청 고객이 중도해지시, 사용기간중 할인받은 금액이 위약금으로 청구됩니다.
* 기타 문의는 영업팀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. 친절하게 안내해 드립니다.
[출처] 코로케이션|작성자 하이퍼바이저